-
Windows TerminalDevelopment Environment 2019. 8. 1. 00:30
WIndows 10 빌드 1903 에서 새로이 Windows Terminal(Preview) 가 사용이 가능하다.
CMD / PowerShell 의 사용에 불편함이 크다면 고민없이 설치해 보자
<Microsoft Store> 에서 Windows Terminal 로 검색 설치, 실행!
설치가 끝났다면 우선 Windows Terminal의 setting 부터 손을 보자. Preview version 이여서인지 모르겠지만 GUI 환경의 setting이 아닌 profiles.json 형태로 Open 이 된다.
< Ctrl + , > 또는 아래 메뉴에서 Settings를 선택
json 파일에 대한 기본앱 설정이 되어있지 않다면 Windows에서 실행할 앱 팝업이 뜰 것이고 적당한 editor를 선택하자
기본앱 초기화는 설정 > 기본 앱 > 파일 형식별 기본 앱 선택 에서 json 항목 선택하여 가능하다
<profiles.json>
각 옵션별로 확인해 보면
- globals
Terminal columns/ Rows, Tap 설정, key-map에 관한 옵션이 있다.
-- initialCols : Windows terminal 실행 시 terminal의 column 수 (default 120)
-- initialRows : Windows terminal 실행 시 terminal의 row 수 (default 30)
-- keybindings : 키 맵
* ctrl + w : Close Tab
* ctrl + t : New Tab
* ctrl + shift + [1...8] : New Tab Profile[1...8], Profile 은 뒤의 <profiles> 항목에 정의 되어지고 메뉴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
* ctrl + tab : Next Tab (열려있는 탭의 이동)
* ctrl + shift + tab : Previous Tab* ctrl + shift + down : Scroll Down
* ctrl + shift + pgdn : Scroll Down Page
* ctrl + shift + up : Scroll Up
* ctrl + shift + pgup : Scroll Up Page
* alt + [1..9] : Switch to Tab[1...9]
-- requestedTheme : (default system)
-- showTabsInTitlebar : TitleBar 안에 Tabs을 같이 보여 줌 (default true)
<false>
-- showTerminalTitleInTitlebar : TitleBar 안에 Tab의 title을 보여준다 (default true)
<false>
- profiles
Terminal의 profiles 에 대한 설명으로 WSL 설치 후 Windows terminal을 설치시 아래 처럼 3개의 profiles 생성 된다.
* Windows PowerShell (powershell.exe)
* cmd (cmd.exe)* Ubuntu (wsl.exe -d Ubuntu)
** ssh 로 remote pc 접속이 많다고 하면, open ssh 실행하는 profile을 새로 추가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
아래 처럼 새로운 프로파일을 추가해 보자
* acrylicOpacity : 두명도
* useAcrylic : 투명하게 사용* GUID로 profiles 가 구분이 되나 새로 추가된 profile인 경우 GUID를 삭제하자, Windwos Terminal을 재시작 하면 새로운 GUID 값으로 추가 된 것을 볼 수 있다
"profiles" : [ { "acrylicOpacity" : 0.5, "closeOnExit" : true, "colorScheme" : "Chalk", "commandline" : "powershell -C ssh ykno2@192.168.21.245", "cursorColor" : "#FFFFFF", "cursorShape" : "bar", "fontFace" : "D2Coding", "fontSize" : 12, "historySize" : 9001, "icon" : "ms-appx:///ProfileIcons/{61c54bbd-c2c6-5271-96e7-009a87ff44bf}.png", "name" : "ssh@mandarin", "padding" : "0, 0, 0, 0", "snapOnInput" : true, "startingDirectory" : "d:\\", "useAcrylic" : true },
각각의 profile 별 수정해 볼만한게 아래 정도 있는 것 같다.
* background : 배경색
* colorScheme : 스킴은 <schemes> 에서 선택이 가능하다
* fontFace : 폰트
* fontSize : 크기
* startingDirectory : 시작 디렉토리
- schemes
profile에서 선택한 schemes에 대한 정의 이며 기본으로 다섯가지가 제공된다.
* Campbell
* One Half Dark
* One Half Light
* Solarized Dark
* Solarized Light
더 많은 color scheme 을 바꾸고 싶으면 Open source project를 통해 바꿔보자
https://github.com/mbadolato/iTerm2-Color-Schemes
친천하게도 200개의 Screenshot들과 Windows terminal용 json 코드 값도 포함되어져 있다.
먼저 github에서 프로젝트 파일을 git 으로 clone 하거나 zip 으로 다운로드 후 적당한 위치에 풀자
우선 스크린샷에서 맘에 드는 컬러스킴을 선택
예시로 chalk.png로 바꿔 보기로 하자
chalk.png project file의 windiTerm2-Color-Schemes-master\windowsterminal\Chalk.json 파일의 내용을 복사 후
{ "name": "Chalk", "black": "#7d8b8f", "red": "#b23a52", "green": "#789b6a", "yellow": "#b9ac4a", "blue": "#2a7fac", "purple": "#bd4f5a", "cyan": "#44a799", "white": "#d2d8d9", "brightBlack": "#888888", "brightRed": "#f24840", "brightGreen": "#80c470", "brightYellow": "#ffeb62", "brightBlue": "#4196ff", "brightPurple": "#fc5275", "brightCyan": "#53cdbd", "brightWhite": "#d2d8d9", "background": "#2b2d2e", "foreground": "#d2d8d9" }
Windows Terminal settings의 profiles.json 의 scheme 안에 추가해 주자
변경 후 실행하면
업데이트 된 것을 볼 수 있다.